Search

13. 청각장애인 스포츠

작성자: 김경민
업로드: 2025.2.26

 청각장애인 스포츠,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청각장애인 선수들의 올림픽, 데플림픽

장애인 선수들이 참가하는 패럴림픽은 아는 사람이 있어도, 데플림픽은 생소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데플림픽(Deaflympics)은 청각장애인을 위한 올림픽으로, 청각장애(deaf)와 올림픽을 합친 스포츠 대회를 말합니다. 국제 청각장애인 스포츠위원회(ICSD)가 주관하는 세계적인 스포츠 대회로, 1924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시작된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계와 동계 대회가 번갈아 개최되는 데플림픽은 청각장애인 선수들의 대회 참여와 국제 교류를 촉진하는 뜻 깊은 스포츠 대회입니다.
올림픽 또는 패럴림픽과 달리, 데플림픽에서는 수어와 시각 신호가 중심이 됩니다. 심판의 휘슬 대신 깃발, 조명 신호, 몸짓 등을 활용해 선수들에게 신호를 전달하며, 경기 중에는 보청기나 인공와우 사용이 제한됩니다. 청각장애인 중에서도 장애의 정도가 달라 인공와우나 보청기 착용으로 인해 들을 수 있는 능력치도 다르기에 공정한 스포츠를 위한 규칙입니다. 즉 청각장애인 선수들이 동등한 환경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죠.
출처: 오마이뉴스

대한민국 데플림픽 역사와 성장

대한민국의 경우에는 1985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15회 하계 데플림픽에 처음 선수단을 파견했으며, 이후 꾸준히 참가하고 있는데요. 가장 최근 개최된 2023년 튀르키예 에르주룸에서 열린 동계 데플림픽에서 대한민국 선수들이 뛰어난 성과를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 위상을 높인 바 있었습니다.
당시 대한민국 선수단은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며 종합 13위를 기록했고, 이는 대한민국이 동계 데플림픽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이었는데요. 특히, 컬링과 스노보드, 크로스컨트리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청각장애인 선수들의 강한 경쟁력을 증명한 의미 깊은 대회였습니다.
출처: 에이블뉴스
컬링 혼성 2인조 – 윤순영·김지수 선수, 대한민국 컬링 역사상 첫 은메달
남자 컬링팀 – 김민재, 김덕순, 윤순영, 정진웅, 정재원 선수, 은메달 획득
스노보드 – '불혹의 스노보더' 최용석 선수, 동메달
크로스컨트리 – 김관·이선주 선수, 동메달 획득
특히 태권도, 유도, 육상, 배드민턴, 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국가대표 육성 시스템이 강화되면서 점점 더 좋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2025년 도쿄 데플림픽이 다가오고 있는만큼 전 세계의, 그리고 우리나라의 청각장애인 선수를 응원해 더욱 다채롭고 공정한 스포츠 환경을 만들어가 보면 어떨까요?
출처: 쿠팡뉴스룸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청각장애인 선수들의 아시안게임

올림픽에 데플림픽이 있다면, 아시안게임에는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이 있습니다.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게임은 청각장애인 선수들만 참가하는 국제 스포츠 대회로, 1984년 홍콩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4년마다 개최됩니다. 이 대회는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 청각장애인 선수들의 실력을 겨루는 무대로, 농구, 배드민턴, 육상, 유도, 볼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이 펼쳐집니다.
가장 최근 대회는 2024년 12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 선수들은 금메달 21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7개로 총 48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2위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청각장애 테니스 선수, 이덕희 선수
청각장애인 선수들이 아시안 패러게임이 아닌 아시안 게임(비장애인 대회)에서 경쟁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대표적인 사례가 청각장애 테니스 선수 이덕희 선수님입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 테니스 남자 단식 동메달 획득하여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여주었는데요. ATP(남자 프로 테니스) 투어에서도 활약하며 도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덕희 선수는 2025년 도쿄 데플림픽에도 출전할 예정이니, 도쿄 데플림픽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주는 국민의 응원이 필요합니다.
청각장애인 스포츠에 대한 인식 제고
이렇듯, 청각장애인 선수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활약하며 대한민국을 빛내는 주역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데플림픽과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경기게임은 올림픽과 아시안게임에 비해 인식이 미미한 문제가 있어 선수들에 대한 지원과 응원이 부족한 실상입니다. 보다 다양하고 즐거운 스포츠를 만들어가기 위해 데플림픽과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경기대회에도 관심을 가지고 선수들을 응원해보면 어떨까요?
다가오는 2025년 일본 도쿄 하계 데플림픽과 아시아태평양농아인경기대회에서도 대한민국 선수들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청각장애인 선수들의 더 많은 도전과 성장을 응원합니다!

청각장애인 스포츠와 관련된 영상 시청하기!

출처: SBS 뉴스-한국, '동계 데플림픽' 역대 최고 성적…선수단 귀국
참고 문헌
더 다양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COM-US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