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2. 손말이음센터는 어떤 곳일까?

작성자: 김경민
업로드: 2025. 2. 15

 손말이음센터: 청각·언어 장애인의 의사소통 권리를 보장하는 필수 서비스

1. 손말이음센터란?

청각·언어장애인은 일상생활에서 수어 또는 입모양을 볼 수 없는 전화 통화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병원,법률,민원 상담등 중요한 전화 통화가 필요할때 언어적 장벽을 맞닥뜨릴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서비스 센터가 있는데요. 바로 ‘손말이음센터’입니다.
손말이음센터는 청각·언어 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는 공공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청각·언어 장애인이 전화 통화를 할 때 통역사가 중간에서 내용을 전달해,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끔 돕습니다.
손말이음센터 이용 안내
전화번호: 국번 없이 107번
홈페이지: https://www.relaycall.or.kr
운영시간: 24시간 연중무휴
이용 가능 기기: 일반 전화, 스마트폰 앱, PC 등

법적으로 보호받는 손말이음센터

손말이음센터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곳입니다.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21조(정보통신·의사소통에서의 차별 금지)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장애인의 전기통신 이용 보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의 정책 사업
손말이음센터는 2005년 12월 27일 서비스 개시 이후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4시간 연중무휴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2. 손말이음센터의 서비스 및 기능

손말이음센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청각·언어 장애인의 소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① 전화 통역 서비스 (Relay Call Service)

청각·언어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전화 통화할 때 중간에서 통역사가 문자 또는 수화로 내용을 전달하는 서비스.
예시: 병원 예약, 은행 상담, 고객센터 문의, 배달 주문, 공공기관 상담 등

② 문자·채팅 통역 서비스

음성 통화가 어려운 경우 문자 메시지나 실시간 채팅을 활용하여 통역 지원.
PC 또는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이용 가능.

③ 긴급 신고 서비스 (112·119 지원)

청각·언어 장애인이 경찰(112)이나 소방서(119)에 신고해야 할 경우 통역사가 대신 신고 내용을 전달.
긴급 상황 시 즉각 대응을 위한 별도 체계 운영.

④ 영상통화 및 수화 통역 서비스

스마트폰과 PC를 이용한 영상통화 지원, 수화 통역을 활용하여 원격 소통 가능.
일부 정부 기관 및 병원과 연계하여 서비스 확대 추진 중.

⑤ 외국어 지원 서비스 (일부 제공)

영어 등 외국어 지원이 필요한 경우 통역사가 추가적으로 지원.
단, 지원 가능한 언어와 범위는 제한적이며, 향후 서비스 확대 계획이 있음.

3. 손말이음센터 이용 방법

전화 이용 방법

1.
국번 없이 107번으로 전화
2.
통역사 연결 후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
3.
통역사가 중간에서 내용을 전달하며 전화 연결

모바일 앱 이용 방법

스마트폰에서 ‘손말이음센터’ 앱을 다운로드하여 문자·영상 통역 이용 가능

인터넷 이용 방법

손말이음센터 공식 홈페이지에서 PC를 이용한 채팅·문자 통역 이용 가능
웹사이트: https://www.relaycall.or.kr

4. 손말이음센터의 이용 시 주의사항

주의사항

통화 예절 지키기
대화 전달만을 하며, 욕설 및 위법 행위 요청 등은 금지됩니다.
중계 목적 외 부적절한 사용 제한
장난전화 및 불필요한 통화는 이용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중계사의 안내 따르기
정확한 전달을 위해 천천히 이야기하고, 중계사의 안내에 협조해야 합니다.

문제점 및 개선 과제

1.
통역사 인력 부족
서비스 수요 증가에 비해 전문 통역 인력이 부족하여 일부 시간대에 대기 시간이 발생.
2.
긴급 신고 서비스의 개선 필요
119·112 신고 서비스는 운영되지만, 실제로 긴급한 상황에서 연결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음.
3.
AI 기반 자동 문자 변환 기술 도입 필요
현재 일부 AI 기반 자동 자막 변환 기술이 연구 중이나, 실제 서비스 적용까지 시간이 필요
손말이음센터는 청각·언어 장애인의 기본적인 소통권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사회 서비스입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손말이음센터를 널리 알리며 적극 이용하고 장애인의 소통 권리에 대해 인식할때, 모두를 위한 소통 환경이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손말이음센터는 단순한 복지 서비스가 아니라 청각장애인의 ‘소통할 권리’를 보장하는 사회적 필수 인프라입니다.
참고 문헌
더 다양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COM-US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