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 수어일까, 수화일까?

작성자: 김경민
업로드: 24.11.27

 수어와 수화, 그 차이를 아시나요?

최근 여러 미디어와 매체를 통해서 농인들이 쓰는 언어인 수화를 간접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손 동작을 이용하는 모습을 가장 흔히 볼 수 있는데요. 엄밀히 따지자면 이는 수어라는 방대한 농인 언어에 속한 ‘수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어와 수화는 종종 혼동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두 가지는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그 의미와 사용법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수어와 수 화의 차이에 대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수어, 그 의미와 특징

수어는 청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언어 체계입니다. 수어는 단순히 손동작만으로 이루어진 의사소통 방법이 아니라, 고유한 문법과 표현 방식이 있는 언어죠. 수어는 다른 언어들처럼 주어, 목적어, 동 사 등 문법적인 요소를 가지며, 이 모든 것이 손의 모양, 위치, 방향, 속도, 얼굴 표정 등으로 표현 됩니다. 즉, 손 뿐 아니라 상황에 따른 표정과 맥락도 사용하며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 수어체계입니 다. 또한 한 나라 또는 지역의 문화적 배경과 역사에 따라 다르게 발달했기 때문에, 각 나라마다 고유한 수어 체계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사용되는 한국수어는 한국어와는 다른 문법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의 수어와도 차이가 있는데요. 2016년에 '한국수어법'이 제정 되면서, 한국 수어는 공식적인 언어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은 바 있습니다. 한국어와 달리 문법적인 구조와 표현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 수어(KSL, Korean Sign Language)는 한국어와는 별개의 언어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 국가의 수어는 해당 국가의 문화적,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며, 그 안에서 의사소통의 규칙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죠.

 수화, 어떻게 다를까요?

수어와 수화의 차이는 그 역할과 기능에서 비롯됩니다. 수어는 고유한 문법을 가진 언어이기 때문 에, 그 사용자가 의사소통을 하는 데 있어 복잡한 문법적 규칙을 따릅니다. 반면, 수화는 수어와 매 우 비슷한 개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정확히 말하면 다른 개념입니다. 수화는 '손을 이용한 의 사소통'을 의미하는데, 이는 수어가 가지는 다양한 신체적 동작 중에서 손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즉, 수화는 수어의 일부로, 손으로 이루어지는 동작만을 특정하는 표현입니다.

 수어와 수화, 구분해야 하는 이유

수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언어가 단순한 손동작이 아니라, 하나의 고유한 언어임을 자부합 니다. 수어를 잘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은 농인을 포함한 모든 사람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중 요한 수단이기 때문이죠. 또한, 수어를 제대로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은 그들 문화와 역사를 존중하 는 일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수어와 수화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그 의미와 사용법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쉽게 말해 수어 가 넓은 의미의 농인언어이고 수화는 그 카테고리에 속한 손에 초점을 맞춘 소통방식인 것이죠. 따 라서 수어는 청각 장애인 공동체의 독립적인 언어이며, 수화는 특정 언어 표현을 시각적으로 전달하 는 도구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합니다. 두 가지를 정확히 구분하고 이해하는 것은 장애인들의 언어적 권리를 존중하고, 더 나은 소통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이제 여러분도 수어와 수화의 차이를 잘 이해하게 되셨겠죠? 이 작은 차이를 알게 됨으로써, 더 많 은 사람들이 수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 세상이 되길바랍니다.
더 다양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COM-US 인스타그램